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희망을 주는 영어 명언으로 배우는 영어 문법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안녕하세요, 위너고시입니다.

 

이제부터 영어 공부도 하고 여러분께 희망을 드리자는 의도에서

매일 영어로 된 희망적인 짧은 경구 하나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처음 소개드리는 말은 시인 대니얼 라딘스키가 옮긴

중세 독일의 신학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말입니다.

 

What keeps us alive, what allows us to endure?

I think it is the hope of loving,
or being loved.

 

- Meister Eckhart.  Version by Daniel Ladinsky

 

무엇이 우리를 살아있게 하고, 무엇이 우리에게 견디도록 허락하는가?

내가 생각하기에 그것은 사랑의 희망, 사랑받은 채  살아가는 것이다.

 

 

-대니얼 라딘스키-

 

외국 사이트에서 희망에 대한 명언이라고 찾아봤더니 사랑타령이잖아

 

암튼 꿈을 이루기 위해 공부하는 분들에게 필요한 말을 찾아보려 했는데,

의도했던 거랑은 핀트가 살짝 안 맞긴 해도 어쨌든 깊은 울림을 주는 말이네요.

 

공부하면서 겪는 어려움, 포기하고 싶다는 유혹, 성적이 원하는 대로 오르지 않을 때의 좌절감...

그런 마음에서 우리가 다시 이를 악물고 열심히 공부하게 되는 원동력은

우리 곁에서 우리가 늘 잘 되도록 기도와 후원을 아끼지 않는 소중한 사람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이 짤막한 경구에서도 배울만한 영어 문법이 많네요 (ㅋㅋㅋ)

 

제일 앞의 "What keeps us alive, what allows us to endure?"

이 문장만 해도.

 

이 구절에서 5형식 문장의 구조를 볼 수 있지요.

'사역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로 이어지는 이 문장 형식은

쉽게 말해 '목적어' '목적보어'하도록 '사역동사시킨다, 사역동사하게 하다'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단 목적보어의 경우 동사원형을 쓸 때도 있고, 

to 부정사 형식을 쓸 때도 있고, 

동사 + ing 형식으로 끝나는 동명사 형식을 쓸 때도 있는데,

 

keep(유지하다) 의 경우는 목적보어로 동사원형을 쓰고

allow (허락하다)의 경우는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쓴다는 사실!

 

꼭 기억해두길 바라요!!!